통일목회, 우리가 걸어야 할 길

목회학에 나오지 않은 통일목회라는 개념을 정의조차 하지 못한 가운데 통일목회에 대한 목소리가 북한선교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통일목회라는 용어를 언제부터 사용한 것인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북한선교 현장에서 처음 목소리를 낸 것은 기독교북한선교회 사무총장인 이수봉 목사로 보인다. 그는 한국교회가 지탄을 받고 있는 이때 통일시대 통일목회는 카이로스적 관점에서 이 시대를 향한 하나님의 뜻을 찾는데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통일목회를 통일은 민족의 통일만 이루는 것이 아니라, 분열과 통일은 복음의 본질에 속하기 때문에 통일운동을 하면서 교회가 건강해 질수 있으며, 분열의 아픔과 통일의 기쁨 사이에는 하나님의 소중한 가치가 많이 있기에 이런 가치를 찾아내어 실천하면서 새 역사를 찾아가는 것이 통일목회라고 정의했다.


이러한 통일목회가 이 시기에 한국교회에 가장 필요한 것으로 역설한 것이다. 한국교회는 위기에 직면했다고 한다. 이 말은 교회성장이 멈췄고, 세상으로부터 소금과 빛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때, 한국교회는 목회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만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통적인 목회에서 통일목회로 바꿔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통일목회를 성경적으로 확실하게 정의한 것은 지금까지 없었다. 통일목회의 기본이해는 목회의 배경에 통일을 접목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일목회에 신학적 작업을 하게 되면 통일목회신학이 된다.

통일목회를 이해하려면 통일의 진정한 의미를 성경을 통해 살펴보고, 통일의 그 의미를

목회에 녹여 목회현장에 접목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로 통일목회신학은 그 간 있었던 목회신학의 또 다른 한면이 아니라, 목회신학의 방향전환이다. 단지 통일목회신학은 지역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 목회신학을 한반도의 상황에 접목시켜 나가야 하는 것이 통일목회신학이다. 그래서 통일목회신학은 북한을 염두에 둔다. 한국의 7만교회는 한반도에 세워졌다. 7만교회는 북한이 교회의 사명과 소명의 하나가 된 것이다.


정종기 교수(아신대)한국교회가 고민하는 것 중 하나가 교회를 교회답게만드는 것이다. 목회자들이 목회를 하면서 교회를 교회답게하려고 노력을 한다. 대다수 목회자들은 제일 먼저 교회를 성장시켜야 이런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해 교회를 성장시키기 위해 전심전력을 쏟았다. 교회가 조금이라도 성장하면 그 다음으로 하는 것이 선교이다. 세월이 흘러 한국교회는 성장한 교회뿐만 아니라, 개척하는 교회도 선교에 중심을 두기 시작했다. 실제 개척하는 교회는 대다수 미자립교회이다. 교회 운영자금 조차 없는 미자립교회임에도 불구하고 선교는 빼놓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정 교수는 이렇게 선교하는 교회의 모습은 한국교회의 자랑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국교회가 한 가지 빼놓은 것이 있다. 땅끝까지 선교하는 데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부러워할 정도로 열심이지만, 정작 북한선교는 하지 않았다면서, “땅끝까지 선교는데 북한을 뛰어넘고 선교한다는 말이다. 북한선교의 터에 한국교회가 빠지고 해외에서 선교를 하고 있다. 이것이 오늘 한국교회의 현실이다. 북한선교를 하는 한국교회는 약 1~2%에 불과하다. 한국교회를 약 7만교회라고 볼 때, 1,000교회 정도만이 북한선교에 동참하고 있다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이 한국교회가 북한선교에 동참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목회자들의 인식부족을 꼽고 있다. 이는 선교에 대한 인식부족은 결코 아니다. 단지 북한선교에 대한 바른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선교의 활성화와 통일목회의 확장을 위해서는 바른 정보가 먼저 정립이 돼야 한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목회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국교회가 살 수 있으며, 한반도 통일과 한반도 복음화를 이룰 수 있다.

저작권자 © 고신뉴스 KN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