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미래와 북한선교

한국교회는 한국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급속도로 고령화 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령화와 더불어 한국교회가 시대착오적 발상을 거듭하고 민족사의 핵심적인 문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면 그 몰락은 더욱더 가속화될 것이다. 미래학자 최현식은 위기에 처해있는 한국교회의 미래를 위해 한국교회가 통일문제와 다민족 세대를 위한 목회를 준비해야만 할 것이라고 조언한다. 그는 한국교회가 장차 다가올 통일을 위해 준비하는 것은 교파를 넘어서서 한국교회가 지향해야만 하는 공동소명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지금까지 한국교회와 신학대학들에게서 북한선교는 그 이름만 있을 뿐 대단히 소극적으로 취급되어져 왔다. 그러다보니 일선 목회자들이 북한에 대한 이해가 터무니없이 부족하고, 북한선교에 대한 전략을 세우기에는 함량부족이 되고 말았다는 것이다


최근 소극적 태도와 부족한 정보로 인한 북한선교 전략 실패가 지속적으로 지적받고 있다. 급변하고 있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가 나아갈 방향은 북한선교와 결부됨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성장지향의 목회와 분단에 대한 외면, 공동소명의 부재 등은 북한선교의 발목을 잡는 부정적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북한선교가 정상궤도에 진입하기 위해선 통일목회를 바탕으로 북한선교를 전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북한선교의 역사는 목회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아니라 선교단체나 목회중 선교적 측면에서의 사역이었다. 그래서 이는 목회에서 선택사항이었고 교회나 선교단체의 비전에 따라 결정되는 사역 중 하나였다. 하지만 통일목회는 목회 구조 자체 안에 북한선교를 전제한 목회이다.


통일목회는 특별한 은사를 가진 사역자가 북한이라고 하는 특수한 지역이나 상황에서 할 수 있는 특수 은사목회 사역이 아니며, 목회자의 은사나 지역, 계층, 시대의 상황에 따른 목회의 분류중 하나가 아니다. 그러므로 통일목회는 이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

송원근 교수(아신대)통일목회를 북한선교나 통일을 위한 사명을 받은 특수사역자들이 통일을 위해 하는 사역이라는 인식을 하게 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조중 접경지대나 북한을 출입하며 사역하는 북한선교사역이나 탈북해 극적으로 남한까지 온 탈북민과 함께 사역하는 목회를 통일목회로 인식하기 때문이다면서, “이런 목회 사역을 진행하려면 당연히 특별한 은사나 특수한 훈련을 받아야만 가능할지 모른다. 이런 목회는 통일선교목회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선교사가 아무 훈련 없이 되지 못하듯이 통일선교목회를 진행하려면 통일과 북한선교에 관한 교육과 훈련이 되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송 교수는 그래서 이런 선입관을 가진 한국교회의 대다수의 목회자는 통일목회를 하자고 하면 주저하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목회자는 신학을 공부하고 목사가 될 때까지 북한의 체제나 사회를 이해에 관한 정보나, 북한선교나 통일에 대해 전문적으로 공부를 한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송 교수는 통일목회를 하기 위해서 목회자는 복음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하나님 나라 가치 안에 통일의 비전이 있음을 정확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 “통일의 비전이 통일목회로 구현될 때 한반도의 통일은 오게 될 것이란 주장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목회자의 통일 목회를 위한 섬김의 리더십과 통일목회 전략, 통일목회 네트워크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을 빼놓지 않았다.

송 교수는 통일목회는 특별한 목회자만의 사명이 아니다. 모든 목회자들은 통일목회를 지금의 한반도 상황에서 실시해야 하고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통일 목회자 사도바울에서 이 통일목회를 배워 통일목회에 동참해야한다면서, “사도바울은 복음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가 되는 목회를 전해주었다. 성경에 나오는 사도바울은 초대 교회 통일목회의 선봉장이었다. 그는 이방인과 유대인 모두에게 구원의 길을 여는 사역자가 되어 예수 안에서 하나가 되는 통일을 이루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신뉴스 KN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