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통일인식 조사

지난 427일 열린 ‘2018 남북정상회담이후 통일에 대한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남북간의 협력을 통한 경제적 상호협약 민간교류를 통한 이산가족문제 해결 언어와 문화의 간극 해소 하나된 민족으로서의 통일 등 평화통일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금은 거창한 것이 아닌, ‘우리의 통일에 대한 인식의 현주소는 어떨까?’, ‘한국교회는 통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란 물음에 대해 되짚어볼 때라고 지적한다.


이에 한반도평화연구원은 목회자와 일반인을 상대로 통일의식조사를 실시했다.


기존의 통일인식 조사는 통일에 대해 다양한 요인들을 묻는데 그쳤으나, 이번 통일의식조사는 통일과 관련한 다양한 질문 항목에 대해 묻고 각각의 항목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했다. 또한 통일에 관련한 여러 가지 개념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 개념들이 어떻게 구성됐으며, 어떻게 종합적으로 측정할 것인지에 대해 보충했다.


그 결과 목회자가 전체적으로 일반응답자에 비해 항목별 통일인식 점수가 높게 나왔다.


통일의 기회요인에 대해 100점 환산을 했을 때 일반인은 58.6, 목회자는 62점으로 나왔다. 통일의 위협요인에 대해 일반인은 65.3, 목회자는 66.1점이 나왔다. 통일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에 대해 상대적으로 목회자의 인식 지수가 더 높게 나왔다.


세부적으로 북한개혁개방이 통일을 촉진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왔다. 일반인이 63.7%, 목회자가 80%이다. 이는 일반인, 목회자 모두 북한의 변화가 통일을 촉진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등 남북한 경제협력은 통일을 촉진한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일반인의 51%그러다고 응답했고, 목회자의 61.3%그렇다고 응답했다. 남북정상회담의 정례화에 대해서는 일반인의 49.7%, 목회자의 60.3%그렇다고 응답했다. 대북 인도적지원에 대해서는 일반인은 40.3%, 목회자의 54.7%로 대북 인도적지원이 통일을 촉진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특히 통일의 위협(장애)요인별 인식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남북간 군사적 갈등이 통일의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일반인의 64.3%, 목회자의 71.3%가 남북간 군사적 갈등이 통일의 가장 큰 위협요인이라는데 그렇다고 응답했다. 남북간 군사적 갈등은 남북간 직접적인 물리적 충돌로 이어질 위험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북핵문제를 일반인의 63.7%, 목회자의 70.3%가 통일의 위협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해서도 일반인의 63.3%, 목회자의 68.7%가 통일의 위협요인이라고 응답했다. 대북전단살포에 대해서도 일반인의 40.3%, 목회자의 37%가 통일의 위협요인이라고 응답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남북한이 통일을 하는데 있어서 내부환경 중 대한민국의 강점은 북한에 대한 경제력우위가 일반인 74%, 목회자 81%로 가장 높게 나왔다. 다음으로 민주주의체제가 일반인 62%, 목회자 74.3%이고, 외교력이 일반인 43.3%, 목회자 55.3%로 나왔다. 통일준비에 관해서는 일반인 13.7%, 목회자 20.3% 매우 낮은 비율로 그렇다고 응답했다. 반대로 통일준비가 강점이 아니라고 응답한 비율이 더 높게 나왔다. 일반인 43.7%, 목회자 40%그렇지않다고 응답했다. 이는 일반인, 목회자 모두가 통일준비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통일준비를 어떻게 구체적으로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과제를 남기고 있다.


아울러 남북한이 통일을 하는데 있어서 내부환경 중 대한민국의 약점에 대해서는 일반인은 54.3%젊은세대의 무관심이 가장 높게 나왔고, 목회자는 60.7%남남갈등이 가장 높게 나왔다. ‘통일을 이루고자하는 의지가 부족하다는 질문에도 일반인의 45%, 목회자의 59%그렇다고 응답했다. 이를 통해 통일의지부족에 대한 인식도 낮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문가들은 통일의지가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데는 일상의 삶과 통일담론이 거리감이 있게 다가오기 때문이기도 하다. 개인의 삶과 통일이 관련돼 있는 통일정책과 담론의 개발이 필요한 이유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고신뉴스 KN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