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 위해 나를 좀 포기하는 운동 필요하다”

▲ 왼쪽부터 손봉호 교수, 김명혁 김상복 목사, 이형기 교수. 기독교보 이국희 기자
▲ 왼쪽부터 손봉호 교수, 김명혁 김상복 목사, 이형기 교수. 기독교보 이국희 기자

“‘새 생활운동’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은 4.19 이후 우리 사회의 정치적, 도덕적 부패와 혼란이다.”


서울 강변교회 원로 김명혁 목사(한국복음주의협의회 명예회장)는 1960년 4.19 혁명 이후 일어난 ‘새 생활운동’에 대해서 이같이 회고했다.


4.19혁명 후 새 생활운동을 일으킨 주역들(김명혁 김상복 목사, 손봉호 이형기 교수)이 3월 6일 오후 2시 서울 강변교회당에서 기독교 언론인들과 좌담회를 열고, 4.19 혁명 직후 한국의 상황을 돌아보고 현실을 진단하면서 한국사회와 한국교회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했다.


김명혁 목사는 “새 생활운동은 4.19 학생 의거의 여파로 일어난 운동이다. 당시 정권이 무너지고 과도정부가 세워졌으나 우리 사회는 정치적, 도덕적인 부패와 혼란을 거듭했다. 그런 상황에서 우리 신앙의 친구들 몇 명이 서울대학교 문리대 한 구석에서 순수하고도 열정적인 신앙의 동기에서 새로운 운동을 꿈꾸게 됐다.”며 “그것은 우리 사회와 나라가 바로 되기 위해서는 사상의 혁명과 생활의 혁명이 일어나야한다는 정신적, 신앙적 자각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이 운동의 뿌리는 순수한 기독교 정신과 윤리적인 정신에 있다.”고 설명했다.


손봉호 전 서울대학교 교수는 “4.19혁명으로 정권은 바뀌었는데 정치나 사회에는 변한 게 아무 것도 없었다. 정치인들은 여전히 부패했고 사회는 무질서했다.”며 “사회의 이런 현상을 좌시할 수 없다고 해 기독학생 몇 사람이 ‘새 생활운동’을 시작했다. 이것은 긍정적 활동이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손 교수는 “오늘 한국교회는 후퇴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성경적인 관점에서 보면 분명하다. 한국교회는 이 사회를 바로 잡을 수 있는 능력과 기회가 있는데도 교회 성장에만 몰두하고 있어 사회적 책임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또 성경보다 이데올로기와 이념에 편향돼 있다.”며 “오늘의 젊은 세대는 사회의 정의와 시민들의 정당한 이익을 위해 시간과 정열을 바쳐야한다. 최근 우리 대학생들은 너무 약고 이기적이어서 정의와 공익에 너무 관심 없어 보이는데 우리 사회와 전 세계의 상황은 그런 무관심이 정당할 정도로 평안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발전을 방해하고 선진국의 문턱에서 가로 막히고 있는 게 바로 거짓말”이라고 제기했다.


김상복 목사(할렐루야교회 원로)는 “4.19혁명 후 서울대학교 문리대 학생들이 교정에서 토론한 결과, 아무리 정권과 장관이 바뀌어도 국민이 바닥에서부터 의식과 생활의 변화가 일어나 생활혁명이 일어나지 않고는 학생들의 희생은 헛것이고, 4.19혁명은 이제부터 국민의 혁명에서 시작돼야한다는 것이었다.”며 “4.19혁명은 그저 정치인들을 위한 학생들의 희생에 불과하다고 모두 느꼈다. 이렇게 새 생활운동은 시작됐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 목사는 “새 생활운동은 탐욕, 정욕, 이기적인 것에서 벗어나 이웃을 위해 내가 가난해지고 다른 사람을 위해서 뭔가 하는 것”이라며 “우리 이웃, 북한 동포를 위해 나를 좀 포기하는 운동을 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형기 전 장신대 교수는 “고려파 장로교회의 신앙과 신학이 ‘새 생활운동’의 정신적 추진력이었다. 고려파 장로교회는 공적인 차원에서 항거정신과 개인적인 윤리 차원에서의 철저성으로 특징 지워지는데 이것이 당시 ‘새 생활운동’ 정신의 영적인 원천이었다.”며 “우리는 오늘날 공적인 윤리 혹은 공동선의 차원에서 그와 같은 공통점들을 찾아내 보다 좋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일에 헌신해야할 것이다. 기독교 윤리의 출발점은 신앙이고 그것의 목적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희망이다. 기독교인들이 너무 개인 윤리적인 차원, 성화에만 머무르지 말고 기독교 윤리를 확대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신뉴스 KN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